SEOUL, KOREA - LG U+ passed a 10-trillion-won milestone in annual sales last year thanks to its efforts to place bigger emphasis on 4G LTE services. The company announced on January 30 that it achieved sales of 10.9 trillion won last year, with an operating income of 7.01 trillion won, up 9.2 percent year-on-year.

LG U+, however, reported a 54.6-percent decline in operating profits to 126.8 billion won primarily due to a rise in marketing costs. LG U+ suffered a net loss of 59.6 billion won last year.
Last year’s marketing expenses amounted to 1.75 trillion won, up 15.4 percent from a year ago.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marketing expenses LG U+ spent last year was more than ten times higher than its annual operating profits.
Key factors behind its sales growth included an outstanding performance in the LTE service market, plus a relatively strong performance in the fixed-line service market.
enews@hankyung.com
*Article in Korean
LG U+ '매출 10조 원 시대'…'마케팅비의 덫'으로 영업익은 반토막
LG유플러스가 지난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10조 원을 돌파했다. 4세대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에 전력을 쏟은 것이 효과를 봤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총 매출이 10조9046억 원을 달성했다고 30일 밝혔다. 영업수익 역시 무선 서비스 수익의 증가로 전년 대비 9.2% 성장한 7조130억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여전히 '마케팅비의 덫'에 묶여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4.6% 감소한 1268억 원에 그쳤다. 연 순손실 59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마케팅비 역시 전년보다 15.4% 증가한 1조7544억 원을 썼다. 영업이익의 약 10배 이상을 마케팅비로 쏟아부은 셈이다.
'매출 10조 원 시대'는 LTE시장에서의 활약과 유선시장에서의 선전이 발판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LG유플러스는 무선가입자 1000만 이상을 달성한 데다가 LTE 가입자 438만 명을 끌어모으는 데 성공했다. 연초 계획한 400만 명을 뛰어넘는 수치다.
또한 유선 시장에서도 070플레이어, u+ tv G 서비스 등을 연이어 출시하는 등 컨버지드 홈 시장을 선도하며 IPTV가입자를 모은 것이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전자결제, 메시징 등 e-Biz사업을 통해 유선 수익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LG유플러스이 무선수익은 LTE가입자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전년 3조 4132억원 대비 16.6% 상승한 3조 9801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에도 고가치 가입자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7.8% 성장한 1조 390억을 달성했다.
한경닷컴 이지현 기자 edith@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Article provided by The Korea Economic Daily
http://english.hankyung.com/news/apps/news.viewpopup=0&nid=0&c1=03&newscate=1&nkey=201301310927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