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hem to Achieve a Goal of 1 Trillion Won in Sales of M & L Sized Secondary Battery
LG Chem to Achieve a Goal of 1 Trillion Won in Sales of M & L Sized Secondary Battery
  • Korea IT Times (info@koreaittimes.com)
  • 승인 2013.02.07 0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EOUL, KOREA - LG Chem has set a goal of achieving sales of 1 trillion won in the market of medium to large sized secondary battery.
The chemical company has established a plan to make 2.94 trillion won in sales of battery business for this year, up about 500 billion won from last year. According to the plan, the increased amount in sales will be covered by medium to large sized businesses including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System (ESS) and others.

The company’s medium to large sized secondary cell business alone made about 500 billion won in sales out of the total of 2.48 trillion won in sales of battery business as a whole.

“The small sized cell market doesn’t have much margin due to the fierce competition there, and we don’t expect the market to grow further. But our medium and large sized battery business is expected to make a stark growth this year thanks to the increased battery supply to Renault Motors,” says Kim Jong-hyun, an executive director of LG Chem. The chemical manufacturer is already providing its batteries for ‘Chevrolet Volt’, a leading electric car of GM. And it started its battery supply for Renaul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previous year.

LG화학, 중대형 2차전지 매출 1조원 뚫는다

LG화학이 중대형 2차전지 시장에서 1조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AESC(닛산·NEC 합작)·파나소닉 등과 선두 경쟁이 치열하지만 공급선 확대로 1위 굳히기도 가능할 전망이다.
LG화학은 올해 전지사업 매출목표를 지난해보다 약 5000억원이 늘어난 2조9400억원 책정했다. 늘어난 목표치를 전기차용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중대형 사업에서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소형 2차전지 시장이 크게 늘지 않는다는 시장 전망에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공급이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지난해 전지사업 매출 2조4800억원 중에서 중대형 2차전지 매출로 약 5000억원을 달성했다. 당초 계획에 훨씬 못 미쳤지만 아직 열리지 않은 전기차와 ESS 시장을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일본 경쟁업체들과 비교해도 세계 1위 수준이다.
김종현 LG화학 전무는 “소형전지 시장은 경쟁 심화로 마진도 주는 데다 시장 증가 폭은 기대하기 힘어졌다”며 “올해 르노차에 배터리 공급 확대 등으로 중대형 사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은 GM의 대표 전기차인 `쉐보레 볼트`용 배터리를 공급 중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르노에도 배터리 공급을 시작했다. 일본을 주축으로 국내외 ESS 시장의 중대형 물량도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LG화학은 르노의 `트이지(Twizy)`와 `조이(JOE)`를 포함해 내년 양산하는 `Z.E 2세대` 등 전기차 전 차종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난해 말부터 트이지의 배터리는 국내서 생산된 LG화학 제품이 장착됐다. LG화학의 배터리를 채용한 LS산전과 LG그룹 계열사 등도 국내외 ESS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김 전무는 “전기차 수요가 예상보다 적었지만 도요타를 주축으로 하이브리드전기차(HEV) 시장이 늘면서 독일계 완성차 업체의 양산계획이 구체화했다”며 “올해 공급선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추가 계약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18120_1303.htm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1206, 36-4 Yeouido-dong, Yeongdeungpo-gu, Seoul, Korea(Postal Code 0733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6-4 (국제금융로8길 34) / 오륜빌딩 1206호
  • URL: www.koreaittimes.com / m.koreaittimes.com. Editorial Div. 02-578-0434 / 010-2442-9446. Email: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Monica Younsoo Chung. Chief Editorial Writer: Kim Hyoung-joong. CEO: Lee Kap-soo. Editor: Jung Yeon-jin.
  • Juvenile Protection Manager: Yeon Choul-woong. IT Times Canada: Willow St. Vancouver BC, Canada / 070-7008-0005.
  •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