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 -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has decided to nullify Apple’s patent on Bounce Back,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pull a page down and release it to bounce back to the top.
Foss Patents, a blog specialized in IPR issues, said on April 2nd that the USPTO deiced to nullify 17 of the 20 items of Apple’s Bounce Back patent.
The rest three items are related to a bounce-back function in very special conditions. IT experts say Apples’ patent on the bounce-back function in general conditions has actually become null and void. Such a decision would surely work as an opportunity for Samsung to reduce the size of indemnification as its rival, Apple, has filed a law suit against Samsung for the patent infringement.
The bounce-back function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involved in the law suits between Samsung and Apple. The US jury reached a verdict, saying that Samsung had breached Apple’s Bounce Back patent, and demanded compensation for the breach last August.
삼성전자-애플 특허 전쟁 핵심인 바운스백 '무효'
미국 특허청이 애플 바운스백 특허를 사실상 무효로 판결했다. 바운스백은 손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화면을 터치하다가 마지막 부분에 닿으면 반대로 튕기는 기술로 애플이 삼성전자에 특허 침해 소송을 건 핵심 이슈 중 하나다.
2일 지식재산권 전문블로그 포스 페이턴츠는 미국 특허청이 지난달 29일 애플 바운스백 특허의 20개 청구항 중 17개에 대해 무효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남은 3개 청구항은 매우 특수한 상황에서 바운스백 기능이다. 특허 전문가들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바운스백 특허는 사실상 무효화됐다고 분석했다. 미 북부지방법원에서 애플과 항소심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는 이번 결정으로 배상 규모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바운스백 특허는 삼성전자와 애플 소송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지난해 8월 미국 배심원단은 삼성전자가 애플 바운스백 특허를 침해했다며 배상액을 청구했다. 지난달 루시 고 북부지방법원 판사는 패시네이트, 갤럭시 에이스, 갤럭시S, 갤럭시S 4G, 갤럭시S2, 갤럭시탭 10.1, 메스머라이즈, 바이브런트 등 제품에 대해 5억9000만 달러 손해배상액을 확정했다.
이 손해배상액에 바운스백 특허와 관련된 금액이 포함돼 있다. 새 재판을 진행해야 하는 14종 제품 역시 바운스백 특허가 관련됐다. 삼성전자는 이미 애플 바운스백 특허를 우회한 기술을 쓴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를 판매 중이다. 애플은 특허청 결정에 대해 특허심판원에 항소할 수 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44823_13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