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xible Displays Come out in Droves in Second Half
Flexible Displays Come out in Droves in Second Half
  • Korea IT Times (info@koreaittimes.com)
  • 승인 2013.05.02 23: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EOUL, KOREA – The hottest topic in the mobile market will be flexible displays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Following much attention to full-HD displays in the first half,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is also expected to see display technology dictate the competitiveness of smartphones.

According to industry insiders, Nokia executives secretively paid a visit to Samsung Display to hold negotiations on the supply of flexible displays. Nokia seems determined to join Samsung and LG Electronics in launching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within this year.

Nokia has made moves to diversify its displays. In a bid to adopt high-resolution LCD panels, Nokia has been using Samsung Display’s AM OLED panels while increasing its purchase of LCD panels from Taiwan’s CMI and LG Display. Nokia now seems determined to introduce flexible displays to its smartphone, thereby widening its smartphone portfolios from low-cost to cutting-edge premium models.

Samsung Electronics has worked on a smartphone with a flexible display since last year. Samsung put off its flexible display smartphone’s official launch, which was supposed to take place last year, to the third quarter of this year.

LG Electronics has recently said that it is cooperating with LG Display to launch its plastic OLED smartphone in the fourth quarter of this year. Both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to mass-produce flexible displays.

Sean Chung (hbpark@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15655_1303.html


하반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대전 펼쳐진다

하반기 모바일 시장의 최대 화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될 전망이다. 상반기 풀HD가 이슈로 떠오른데 이어 하반기에도 역시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시장 경쟁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노키아 임원진은 비밀리에 삼성디스플레이를 방문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공급 협상을 가졌다.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이어 노키아도 연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출시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노키아는 최근 디스플레이 다변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능동형(A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공급받는 동시에 최근 대만 이노룩스(CMI)와 LG디스플레이로부터 LCD 패널 구매량을 늘리고 있다. 고해상도 LCD 패널을 채택하기 위해서다. 여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까지 내놓음으로써 초저가 스마트폰부터 첨단 프리미엄 제품까지 다양한 기종을 출시하겠다는 전략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을 준비해 왔다. 당초 지난 해 출시가 목표였으나 늦춰졌다. 삼성전자는 올 3분기를 목표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갤럭시노트3의 플렉시블 버전을 별도로 내놓는 안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LG전자는 최근 “4분기 출시를 목표로 플라스틱 OLED 스마트폰을 LG디스플레이와 협력해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양산할 예정이다. 두 패널 회사는 유리 대신 플라스틱 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를 성형한 AM OLED 패널 양산을 준비 중이다. 모두 하반기 양산이 목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5.5세대,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파일럿 라인을 통해 각각 생산할 계획이다.

이들이 내놓을 패널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제품이다. 플라스틱을 기판으로 채용해 쉽게 깨지지 않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스마트폰 제조사의 요구에 따라서는 휜 형태의 디자인도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종이처럼 구부렸다 다시 펼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수년 후에나 등장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수율과 생산 능력으로 볼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스마트폰이 올해 나온다고 해도 최대 월 몇십만대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하지만 깨지지 않는 디스플레이를 새로운 컨셉트로 내세워 기술 선도 이미지를 심어주기에는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1206, 36-4 Yeouido-dong, Yeongdeungpo-gu, Seoul, Korea(Postal Code 0733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6-4 (국제금융로8길 34) / 오륜빌딩 1206호
  • URL: www.koreaittimes.com / m.koreaittimes.com. Editorial Div. 02-578-0434 / 010-2442-9446. Email: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Monica Younsoo Chung. Chief Editorial Writer: Kim Hyoung-joong. CEO: Lee Kap-soo. Editor: Jung Yeon-jin.
  • Juvenile Protection Manager: Yeon Choul-woong. IT Times Canada: Willow St. Vancouver BC, Canada / 070-7008-0005.
  •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