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 –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 domestic venture firms were still simply manufacturing parts for conglomerates.
According to corporate management evaluator CEO Score’s survey of 329 venture firms with over KRW 100 billion in annual sales, 87.5% or 288 venture firms surveyed, were manufacturers that produce electronic parts or auto parts. Most of the successful venture firms were parts suppliers to Korean conglomerates like Samsung Electronics and Hyundai Motor.
Besides, their operating profits and net profits turned out to have been on the decline. The “KRW 100 billion venture firm club” posted an average operating profit of 6.8% (down from 7.3% in 2011) and an average net profit of 3.7% (down from 5.1% in 2011).
Generally speaking, when a firm’s operating profit exceeds 20%, the firm is regarded as an independent venture firm in foreign nations. On the domestic front, a firm with an operating profit of over 10% is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enture firm. Only 14 of the KRW 100 billion venture firm club notched up an operating profit of over 20%.
IT service providers, including NHN, Nexon, NCsoft, etc. took up 12.3% of the KRW 100 billion venture firm club’s total sales and 66.0% of the club’s total net profits.
Sean Chung (hbpark@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15655_1303.html
국내 벤처 대부분이…대기업 `가두리 양식장` 전락
국내 대다수 벤처기업이 대다수가 대기업의 부품제조 협력업체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기업경영 평가 업체인 CEO스코어가 연매출 1000억원 이상을 올린 329개사의 지난해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87.5%를 차지하는 288개 벤처가 전자부품이나 자동차부품 등을 생산하는 제조기업으로 조사됐다. 성공한 벤처기업의 대다수가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의 협력업체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이들의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 등은 갈수록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0억 클럽` 벤처기업의 지난해 평균 영업이익률은 6.8%, 당기순이익률은 3.7%였다. 2011년의 영업이익률 7.3%, 당기순이익률 5.1%에 비해서 나빠진 것이다. 이는 전통 제조업체의 이익률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보통 외국 벤처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를 넘고 국내에서도 최소 10%는 넘어야 자립형 벤처기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1000억 클럽` 벤처 가운데 영업이익률이 20%를 넘은 업체는 14개 회사로 전체의 4.2%에 불과했다. 10%를 넘은 업체도 52개사로 15.8%에 그쳤다.
벤처업계에서 그나마 수익성이 좋은 곳은 일부 IT서비스 업체들이다. NHN 등 검색포털, 넥슨, 엔씨소프트 등 게임업체, 전자상거래 및 소프트웨어(SW) 업체로 구성된 이들 IT벤처는 24개(7.4%)에 불과한데도 `1000억 클럽` 전체 매출의 12.3%, 전체 순익의 66.0%를 차지했다.
특히 제조벤처 중에서도 가장 수가 많고 국내 수출의 근간을 차지하는 전자부품업체(73개)와 자동차부품업체(52개)의 영업이익률이 각각 3.7%, 3.8%에 머물렀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결과적으로 대다수 벤처기업이 대기업이 쳐놓은 `가두리 양식장`에 `먹이(물량)` 공급을 줄이거나 끊으면 고사할 수밖에 없는 물고기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조경제의 핵심 키워드인 `벤처 활성화`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순한 창업 지원보다는 벤처 주변의 자력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박 대표는 “벤처기업 상위 1%에 속하는 1000억 클럽마저 대기업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라며 “정부의 벤처정책은 벤처기업이 거래처와 시장을 다각화해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