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 - On Thursday, South Korean government proposed to North Korea to hold a working-level meeting on the 6th to discuss the issues surrounding Gaesung Industrial Complex. If the North accepts the proposal, a break-thru may be made in the aggravated inter-Korean relationship.
Hyungsuk Kim, the spokesperson of Ministry of Unification said on Thursday that a notification letter in the name of Inter-Korean Cooperation District Support Division was delivered to the North through the liaison office at Panmoonjeom. In the notice, South Korean government proposed to hold a working-level discussion in Panmoonjeom on the 6th.
Kim elaborated, “the proposal was made because it has been almost three agonizing months since the companies left their factories in Gaesung, and they are going to suffer even more when the summer monsoon season comes.”
The proposal by South Korean government is practically a counter offer to North Korean offer of allowing South Korean businessmen and officials supporting Gaesung Industrial Complex to visit Gaesung. North Korean government had notified the South that it will allow South Korean businessmen and officials to enter the Gaesung Industrial Complex to care for their factories, adding that it will “make necessary arrangements, once the South chooses the date.”
The Gaesung Industrial Complex Normalization Committee, a group formed by businesses operated in Gaesung Indistrial Complex, welcomed the government’s proposal to the North, and announced that it will make the application to visit their factories on the 9th.
정부, `개성공단 실무회담 6일 판문점 개최` 제의
정부는 4일 개성공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국간 실무회담을 오는 6일 판문점에서 개최하자고 북한에 제의했다. 북한이 이를 받아들이면 지난달 12일 남북당국회담 결렬 후 악화됐던 남북 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전망이다.
통일부는 이날 오전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장 앞으로 이 같은 내용의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명의 통지문을 전달했다고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이 밝혔다. 정부는 통지문을 통해 오는 6일 판문점 통일각 또는 평화의 집에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을 가질 것을 제안했다.
김 대변인은 “이번 회담 제의는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된지 석 달이 지나는 상황에서 입주기업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다가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더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제의는 이 같은 문제가 남북 당국간 대화를 통해서만 풀어갈 수 있다는 일관된 입장에 따른 것”이라며 “그동안 정부가 수차례에 걸쳐 당국간 실무회담을 북한 측에 제의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이번 실무회담 의제와 관련해 △개성공단 시설 및 장비점검 문제 △완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 문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문제 등을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문제를 의제로 제안한 것은 개성공단 사태의 재발방지책을 논의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정부 제의는 전날 북한이 개성공단 기업인과 우리측 관리위원회 인원의 방북 허용 입장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밝혀온 데 따른 사실상 역제안이다. 북한은 전날 우리 기업인과 관리위 인원들의 방북 허용 방침을 우리 측에 전하며 “방문 날짜를 알려주면 통행·통신 등 필요한 보장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정부가 당국 실무회담 개최를 제안한 것과 관련해 환영의 뜻을 전하며, 오는 9일 방북 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날 통일부 발표 뒤 대책회의를 갖고 이런 내용의 입장을 정리해 발표했다.
비대위는 “북측의 이번 통지문에 대한 우리 정부의 남북 실무회담 제의를 환영한다. 9일자로 방북신청을 하고자 하니 (남북 당국이) 절차를 밟아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학권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장마가 오고 있는데 남북이 실무 협상할 때 9일 1차적으로 방북을 승인해달라는 것”이라며 “시기가 늦어졌지만 우선 20~30명 소수 인원을 방북시켜 내용을 점검한 다음 구체적인 일정이 나오면 정상적인 점검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policy/2794052_13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