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오는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2013대구세계에너지총회에서는 전 세계의 석유 및 가스 분야의 업계 리더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셰일 가스의 미래와 원유 가격 등 해당 분야의 가장 뜨거운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
석유 및 가스 분야 세션의 주요 연사로 사우디 아람코 CEO 칼리드 알 팔리, 로얄더치셸 CEO 피터 보저, 러시아 에너지 장관 알렉산더 노박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영국의 BG그룹, 미국의 코노코필립스, 듀크에너지, 엑손모빌, 러시아 가즈프롬, 일본석유자원개발(Japex), 콜롬비아 석유공사(Ecopetrol), 인도석유공사(ONGC), 멕시코석유공사(Pemex), 인도네시아석유공사(Pertamina), 알제리국영석유사(Sonatrach), 트랜스캐나다, 호주 우드사이드 에너지 등의 국제 에너지 기업들이 참여한다. 또한,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남미, 중동의 각 대륙에서 석유가스 분야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주요국 장관들이 참여하여, 여러 글로벌 에너지 현안과 함께 해당 분야를 둘러싼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가 이루질 예정이다.
특히, 카스피해등 새로운 자원의 보고지역을 중심으로 생겨나는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 및 다양한 사업 기회등에 대한 논의도 이어져 해당 업계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지 가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석유 및 가스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논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셰일 가스와 셰일 오일은 거품에 불과한가
- 러시아 집중 조명: 세계 에너지 시장 전환기의 주요 정책 변화와 국제적 공조
- 원유 가격의 투명성: 국제 가격 결정의 절차 개선 방안
- 북미: 2025년에는 에너지 자립국으로 변모할 것인가
- 아시아 LNG시장의 신 성장
- 국영석유회사 및 민간기업의 역할
이와 관련하여,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조직위원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은, “석유 및 천연가스 논의는 현재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 있다. 또한 에너지 안보와 탄소배출 감소 등의 글로벌 에너지 이슈와도 맞물리는 중요한 화두”라며, “이번 총회는 에너지 리더들이 미래의 에너지 로드맵을 구상하는 구심적 역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계에너지협의회 크리스토프 프라이 사무총장은, “셰일가스 혁명은 에너지 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는 에너지 대전환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북미대륙은 에너지 자립이라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세계 에너지 무역 흐름의 변화를 주도하고, 최초로 석유와 가스 가격 분리의 가능성을 야기시켰다”며 “이번 총회에서는 업계 리더들이 한데 모여 석유와 가스 분야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논의가 이루어 질 것” 이라고 전했다.
한편, 올해 22회를 맞이하는 세계에너지총회는 석유,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이슈를 총망라하여 ‘내일의 에너지를 위한 오늘의 행동 (Securing Tomorrow's Energy Today)'이라는 주제로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 안보, ▲에너지 수급 불균형,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문제를 에너지 삼중고(trilemma)로 정의하고 다각적인 논의와 토론이 이루어진다. 각국 에너지장관, 국제기구의 수장, 각 지역의 개발 은행 총수등 현재까지 200명이 넘는 글로벌 리더들이 연사로 참여를 확정했다.
세계에너지총회는 92개국 3000개의 회원사들로 이루어진 세계에너지협의회 주최 하에 3년마다 열리며 에너지 시장에서 아시아의 역할이 계속해서 증대되는 가운데, 올해 총회는 90년 역사상, 인도(’83)와 일본(’95)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로 개최된다. 선진국과 개도국을 포함한 전 세계 140여 개국의 기업, 정부, 국제기구, 학계, 협회 등 모든 에너지분야 리더 및 관계자 5,000여명이 참석하는 이번 행사는 올해 한국에서 열리는 가장 큰 국제행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