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OUL, KOREA – The 2014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designed to discuss ways for building peace and co-prosperity on a unified Korean peninsula, was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Memorial Hall (Visitors Center) on October 30.
Nearly 500 unification experts, including Han Hwa-gap (president of the Korea Peace Foundation) and Hwang ByungTae (a former South Korean ambassador to China) attended the 2014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hosted by the Korea Peace Foundation (KPF) and The Korea IT Times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Korea Eximbank),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UNKS) and KT Olleh TV JBS. In particular, Kim Moo-sung, Chairman of the ruling Saenuri Party, delivered a congratulatory address, expressing his respect for KPF President Han Hwa-gap.

“Let me first express my sincere thanks to the Korea Peace Foundation President Han Hwa-gap for holding the 2014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to seek ways for building peace and co-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North Korea is off limits to South Koreans, South Korea is no different from other island nations. If the two Koreas unite, I believe, we will become a formidable Northeast Asian nation with a population of 75 million. Until then, I hope that the Korea Peace Foundation continues to ponder over better ways to unify the two Koreas. And I hope we will see a unified Korean peninsula in the near future,” said Saenuri Party Chairman Kim Moo-sung in his congratulatory address.
Following an opening address by KPF President Han Hwa-gap and a keynote speech by Hwang ByungTae (a former South Korean ambassador to China), a five-member panel discussion kicked off, moderated by Kim Soo-dong, President of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Yoo Taek-yeol, Head of the KPF’s preparatory committee.
“At a time when the atmosphere of the Korean peninsula is getting grimmer and tenser than ever before, the way the current international wrangl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pans out seems like a throwback to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Hence we have prepared the 2014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in order to put our heads together to find ways for bringing permanent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KPF President Han Hwa-gap said in his opening address.

“I hope we can bring changes to our traditional North Korea policy or customary inter-Korean contacts in order to restore mutual trust and find a new implementable paradigm of co-prosperity. By doing so, the two Koreas have to pool their wisdoms to take the lead in addressing our own issues with the assistance of the US and China, “said KPF President Han Hwa-gap.
“I hope the 2014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will serve as a great opportunity to find ways to ease tensions and buil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 also hope to see a unified Korean peninsula in the foreseeable future,” added KPF President Han
The first order of business for Inter-Korean unification is to make efforts to recover inter-Korean homogeneity,
“Despite all the knowledge and efforts for inter-Korean unification, the prospects of a united Korean peninsula are getting dimmer day by day. And we are now unwittingly beset by a ‘paradox of unification.’ The existing policy for unifying the two Koreas should be given a full makeover to push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n a realistic and implementable manner,” emphasized Hwang Byung-tae, a former South Korean ambassador to China.
“The starting point for inter-Korean unification should be to recover inter-Korean cultural homogeneity in somewhat similar living conditions and cultural lifestyles. Efforts to recover inter-Korean cultural homogeneity should precede those for politica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Putting the restoration of inter-Korean cultural homogeneity before everything else, we should gradually take a bottom up approach towards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keeping pace with progress in the recovery of inter-Korean cultural homogeneity.” Hwang Byung-tae stressed.
“The argument that the two Koreas can be united though inter-Korean summits and the issue of unifying the two Koreas should be discussed solely ‘between two of us’ is nothing but a nationalistic discourse that disregards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s only possible when North Korea’s sociopolitical opening and political reform take place and when inter-Korean dialogue and exchanges kick into high gear, backed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Such processes will occur naturally once North Korea’s efforts for opening and reform transform the country into a normal, legitimate nation that is also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ntional community,” Hwang added.
Following the first part of the 2014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Kim Man-heum, Head of the Korea Academy of Politics and Leadership, moderated the second part, which featured numerous lectures delivered by experts, including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y Lee Sang-hyun (head of the department for security strategy studies at the Sejong Institute), “The Korean Peninsula’s Trust Building Process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y Hong Hyun-ik (a senior researcher at the Sejong Institute), “The Role of IT in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Cho Sung-kap (chairman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flections on inter-Korea Relations and Challenge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Kim Geun-sik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at Kyungnam University), “Ways to Use North Korea’s Nuclear Power as Medical Science” by Chai Jong-seo (professor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at Sung Kyun Kwan University).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 Korea has no other option but to strike cooperative partnerships with China, Japan and Russia while further nurturing S. Korea-US ties into a stronger strategic alliance. S. Korea’s strategy should revolve around forming various and muti-dimensional networks with its neighbors,” said Lee Sang-hyun, Head of the department for security strategy studies at the Sejong Institute.
The Korean Peninsula’s Trust Building Process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order to build stability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addres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 Korea should proactively engage in dialogue with North Korea, achieve consensus on inter-Korean issues and build mutual trust by implementing what the two Koreas have agreed upon,” said Hong Hyun-ik , a senior researcher at the Sejong Institute.
The Role of IT in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for North Korea’s Internet use, its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is in poor shape and the open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s working as an destabilizeng factor for the North Korean regime. As of now, North Korea is running its domestic network (the Internet) and intentional network (www.) separately. To narrow the IT gap between the two Koreas, talent nurturing and exchanges is a must. The future of North Korea depends on its ability to produce globalized talent. Thus,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scientists are all important,” mentioned Cho Sung-kap, Chairman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flections on inter-Korea Relations and Challenge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reaking with our conventional wisdom, we should reexamine inter-Korean relations. Since the Lee Myung-bak government,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been revitalized. In order words, North Korea is not seeking as much economic assistance from South Korea as it used to. Hence we should now pursu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politically ad realistically, not through the provision of economic aid,” said Kim Geun-sik ,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at Kyungnam University.
Ways to Use North Korea’s Nuclear Power as Medical Science
“North Korea is still using the medical radiation devices it received from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in the 1960s. North Korea’s nuclear medicine facilities are very much outdated and a constant supply of consumables is almost nonexistent. Thus, once the devices break down, they will no longer function properly,” said Chai Jong-seo, Professor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and nuclear medicine at Sung Kyun Kwan University.
“Rather than reacting sensitively to the word ‘nuclear’ in cooperating with North Korea, we need to reinforce inter-Korean exchange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or nuclear science, which is not related to building nuclear weapons. By doing so, we can help North Korea diversify from the production of nuclear weapons,” Professor Chai added.
“Next year, I will invite both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to the 2015 Korean Peninsula Peace Forum in a bid to hear more diverse opinions. I hope you will share your great thoughts with us again next year. Thanks you for your support,” KPF President Han Hwa-gap said in his closing address.
By Cheon Tae-un(ctu@koreaittimes.com)
SEOUL, KOREA - 한반도 평화정착과 공동 번영방안을 주제로 통일을 논의하는 ‘2014 한반도평화포럼’이 30일 국회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한반도평화재단이 주최하고 Korea IT Times가 주관하며 외교부·통일부·한국수출입은행·북한대학원대학교·kt·일자리방송의 후원으로 열린 이 행사에는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 황병태 전 주중대사 등 통일 분야 각계 전문가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한화갑 총재에게 존경을 표하며 축사를 해 눈길을 끌었다.
김무성 대표는 축사를 통해 “존경하는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께서 한반도 평화정착과 공동번영의 방안을 모색하는 한반도평화포럼을 열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히 생각한다”며 “지금은 북쪽이 막혀서 우리 한반도 남쪽은 섬나라나 마찬가지인데 만약 통일이 돼 7천5백만의 인구가 된다면 동북아를 호령하는 엄청난 대국이 될 것으로 믿는다. 그 때까지 한반도평화재단 같은 곳에서 많은 통일 방안 등을 만들어 주시길 바라고 또 그런 날이 빨리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의 개회사에 이어, 황병태 전 주중대사의 기조연설’과 5인의 패널리스트의 발제토론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수동 대한민국과학기술대연합회 공동대표와 유택열 한반도평화재단 준비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는 개회사를 통해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의 흐름이 그 어느 때 보다 엄중하고 긴박한 역사적 순간임을 실감하고 있는 이때에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의 전개가 마치 구한말의 과거를 되살려 보는 것과 같은 불길한 예감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며 “우리의 시대적 고민인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구축 방안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2014 한반도평화포럼’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화갑 총재는 “과거 우리의 대북정책이나 관행화되었던 남북한 간의 접촉 방식이 새로운 차원의 출발을 통한, 상호신뢰 회복과 실천 가능한 상생의 패러다임을 찾아냈으면 한다”며“그리하여 우리가 주도권을 잡고 남북한이 함께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중국을 끌어들일 수 있는 민족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또한 그는 “오늘의 ‘2014 한반도평화포럼’이 이러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새로운 해법 제시의 장이 되길 바라며, 한반도 통일이 앞당겨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남북통일의 출발은 민족동질성 회복 우선돼야”
특히 황병태 전 주중대사는 통일을 위한 온갖 지혜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통일의 전망은 점점 흐려지고 있는 ‘통일의 파라독스’에 빠져들고 있다고 진단하며 기존의 통일방안을 실현성 있고 현실성 있는 것으로 새로 짜는 작업에서 새로운 통일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병태 전 주중대사는 기조연설에서 “남북통일의 시발은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어느 정도 비슷한 생활환경과 문화생활 속에서 동질성 회복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이러한 민족동질성이 회복될 때까지의 성급한 정치통합의 통일은 보류하고 통일을 위한 밑그림이 될 민족동질성 회복이 선행되고 회복과정에 맞추어 국가평면의 통합인 통일을 서서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남·북 정상회담으로 통일이 성취될 수 있고 통일은 ‘우리끼리’ 만들어 가자는 주장은 국제적 역학관계를 외면하는 국수주의적 담론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한반도의 통일은 북한의 사회경제개방과 정치개혁이 이루어지면서 남·북간의 대화와 교류협력이 트이고 이를 뒷받침하는 국제적 협조가 이루어질 때 가능하며 그러한 시기의 도래는 북한이 개방 개혁되어 정상적인 보통국가가 되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성원(成員)이 되는 가운데서 자연스럽게 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1부에 이어 2부 행사에는 이상현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연구실장의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 정세’,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북핵문제’, 조성갑 한국정보처리학회 회장의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IT역할’,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의 ‘남북관계의 회고적 성찰과 한반도 평화의 과제’, 채종서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의 ‘핵무기 원자력을 평화적 의과학으로 사용방안’을 주제로 각각 강연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이 좌장을 맡아 2부 행사를 진행했다.
이상현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연구실장은 “한미동맹을 명실상부한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는 한편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강대국들과 협력동반자관계를 병행 추진하는 방안 외에는 대안이 없다”며 “한국의 전략은 우리 주변의 네트워크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만드는 데 우선점을 둬야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북핵문제’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한반도 정세를 안정시키고 평화를 회복하며 북핵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대화와 협상을 통해 상호 소통을 하고 실행 가능한 합의를 도출한 뒤 이를 이행하면서 상호 신뢰를 만들어간다는 자세와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IT역할’
조성갑 한국정보처리학회 회장은 “북한의 인터넷 현황을 살펴보면 통신기기 시설이 열악하고 정보통신의 개방으로 인해 체제 불안 요인이 발생하고 있다”며 “현재는 국내 망(Internet)과 국제 망(www)을 분리해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조성갑 회장은 “남북 IT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재양성교육과 교류협력이 필요하다”며 “북한의 미래는 국제화된 인재에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남북 과학자의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알고 있는 상식을 깨고 남북관계 재검토해야”
왜 남북관계 진전이 어려운가 김근식 경남대 정치학과 교수는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을 깨고 다시 남북관계를 재검토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 이후 북한이 많이 경제적으로 활성화가 됐다. 예전만큼 우리나라에 손을 벌리는 일은 많이 없어졌기 때문에 이제는 경제적인 도움을 주는 게 아니고 현실적으로, 정치적으로 화합을 이끌어 내야지 통일의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핵무기 원자력을 평화적 의과학으로 사용방안’
채종서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는 “북한은 1960년대부터 국제 원자력 기구로부터 방사선 의료 장비도 공여 받아 아직까지 사용하고 있다”며 “북한의 핵 의료 시설은 기기에 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기기를 운영할 수 있는 소모품 공급이 전혀 안되고 고장 시에도 부품 공급이 힘들어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채종서 교수는 “북한과의 협력에서 핵이란 단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고 핵의학이나 핵과학과 같이 핵무기와 관련 없는 분야의 교류를 통해 북한의 핵과학의 분야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2014 한반도평화포럼 폐회사에서 한화갑 총재는 “내년에는 제가 이 모임을 확대해서 국내외 학자들을 초대하여 좋은 의견을 듣도록 준비를 하겠다. 여러분들 기대해 주시고 많은 성원을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