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대부분은 통일 후 대북사업 추진의향이 있으며 개성과 해주지역을 투자관심지역으로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기업 500곳에 통일 이후 대북사업 추진 의향을 조사한 결과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이 30.8%, '여건이 허용하는 한 추진할 것'이라는 답이 56.4%로 나왔다고 10일 밝혔다.
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가장 관심 가는 지역은 개성·해주지역(42.4%), 희망사업 분야는 지하자원(28.4%)과 SOC(22.1%) 개발, 생산기지 조성(22.1%) 등으로 나타났다.
개성·해주에 이어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지역(28.0%),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5%), 원산·금강산 등 강원도 인근지역(9.2%), 나진·선봉 등 러시아 접경지역(5.3%) 순으로 투자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통일의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진전 상황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강했다.
65.1%가 통일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편이었으며 필요한 이유는 경제발전(6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남북관계 동향을 묻자 10.6%만이 '통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답했고 대다수인 70.7%는 '제자리 걸음'이라고 답했다. 통일 예상 시기는 20∼30년내(35.4%)와 10∼20년내(31.2%)가 많았다.
북한기업의 역량 개발에 협력하겠다는 기업들은 가능 방안으로 기술전수(31.3%)를 꼽았고 북한 경제인의 우리 기업 답사 허용(25.8%), 전문인력 파견(20.5%) 등도 제시했다.
남북간 경제교류를 전면 금지한 5·24 조치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대다수(87.6%)가 해제 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