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의 FTA 체결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무역연구원은 20일 '하나의 시장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에 주목하라' 보고서에서 EAEU가 올해부터 EU와 같이 역외국가에 대해 공통 수입관세율을 적용하는 단일시장으로 출범함에 따라 이들과의 교역 및 경제협력을 확대하고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유라시아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해 FTA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유라시아경제연합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키즈스탄 등 5개국으로 구성돼 있다.
EAEU는 인구 약 1억8000만명에 경제규모는 2조1000억달러에 달한다. 전 세계 석유 생산량의 14.4%, 가스 생산량의 20%, 석탄 생산량의 6.4%를 차지하는 자원부국들이다.
한국의 자동차 및 부품, 무선통신기기, 합성수지 등 공산품과 EAEU의 원유, 천연가스, 석탄 등의 광물자원을 맞수출하자는 것.
IMF는 최근 EAEU 경제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서방국가의 경제제재와 국제 원자재 가격하락 영향으로 경기침체를 겪고 있지만 2017년부터 플러스 성장세로 반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EAEU는 중국이 동아시아와 유럽 경제권을 연결하는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적용되는 지역으로 FTA 추진 시 정부의 유라시아이니셔티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무역협회의 설문조사 결과 우리기업들은 러시아와의 FTA 체결을 일본 다음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방국가들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와 EAEU 출범으로 러시아와의 양자 FTA 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이근화 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연구원은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에 대비하는 한편, EAEU와의 교역 및 경제협력 확대를 위해서는 EAEU와의 FTA 추진전략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