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이 이달에만 국내 주식투자로 5조원이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됐다. 코스피(KOSPI)가 7.59% 급락한데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가진 국내 기업 277곳의 지분 평가가치가 지난달 31일 79조7742억원에서 이달 21일 74조2765억원으로 5조4978억원이 줄어 6.9% 감소했다.
국민연금은 전체 자산의 20%에 가까운 96조6000억원을 국내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지난 5월까지만 해도 국내 주식투자에서 9.6%의 수익률을 올렸다. 그러나 코스피 하락으로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바뀐 것. 이대로 가다가는 올해 주식투자 실적이 지난해에 이어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국내 주식에 투자해 마이너스 5.5% 수익률로 4조7540억원의 손실을 봤다. 코스피 하락률보다 수익률이 1.8%포인트 더 낮아 ‘마이너스의 손’ 논란이 일기도 했다.
투자 종목 가운데선 삼성전자(9904억원)의 평가 손실액이 컸고,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등 삼성그룹 계열사에서 입은 손실이 많았다.
SK하이닉스(-3390억원)와 아모레퍼시픽(-3171억원)이 3000억원대의 손실로 뒤를 이었다. 제일모직(-2107억원), 삼성물산(-1838억원), SK(-1780억원), LG화학(-1702억원), KCC(-1578억원), 오리온(-1259억원), LG생활건강(-1254억원), 현대산업(-1221억원), POSCO(-1123억원) 등의 순으로 평가손실액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