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30대 대기업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재계 출신이 74%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국내기업들이 사외이사를 정관계를 의식한 ‘바람막이용’으로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30대 그룹 187개 상장사 사외이사 609명 중 관료 출신은 235명(38.6%)으로 조사됐다.
30대 그룹 중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절반을 넘는 기업은 8곳이었다. 영풍이 69.2%로 가장 높았고 두산은 64.0%, CJ 62.1%, OCI 61.5%, 신세계 52.6%, 롯데 51.7%, 효성 50.0%이 뒤를 이었다.
반면 미래에셋은 계열사 3곳의 사외이사 9명 중 관료 출신이 한 명도 없었다. 포스코는 사외이사 17명 중 2명만이 관료 출신으로 11.8%에 그쳤다. LG(14.3%)와 KT(17.2%)도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적은 편이다.
관료출신 사외이사를 전직에 따라 나눠보면 법원·검찰이 69명(29.4%)으로 가장 많았다. 청와대(24.7%), 세무(17.4%), 공정거래위원회·기획재정부(각 7.2%), 감사원(2.1%), 금융감독원(1.7%)이 뒤를 이었다.
CEO스코어는 미 경제전문지 ‘포천’이 선정한 미국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 815명 이력도 전수조사했다.
미국 기업은 재계 출신 사외이사가 603명으로 74.0%를 차지했다. 관료 출신은 81명으로 9.9%에 그쳤다. 학계 출신이 7.0%로 뒤를 이었고 세무·회계(3.8%), 언론(1.8%), 법조(1.5%), 정계(1.0%)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