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 삼성동 본사 부지를 현대차그룹에 매각해 10조5500억원을 확보한 한전이 7000억원이상을 주주 배당에 사용할 계획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28일 새누리당 장윤석 의원이 한전에서 받은 '본사 매각대금 활용 계획'에 따르면 한전은 매각대금 가운데 부채 상환에 5조5176억원을 사용하고 내년도 주주 배당으로 7360억원을 배정했다.
지난 6월말 기준 한전의 부채는 59조원. 계획대로라면 부채 상환에 매각 대금의 52%를 사용하는 셈이다.
장윤석 의원은 그러나 “차입금도 28조 8000억원에 달하고, 매일 이자만으로 32억원을 지출하는 한전은 매각대금을 배당금 잔치에 사용할 것이 아니라 부채 감축을 통한 경영 합리화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전의 지난해 배당금은 561억원에 불과했고, 올해는 3210억원을 지급할 것임을 감안하면 배당금으로 지나치게 많은 금액을 지출하는 것.
백승정 한국전력 기획본부장은 지난해 9월 "부지매각은 부채감축을 위해 시작한 것으로 부채감축에 사용할 계획이다. 매각대금은 부채 감축에 모두 사용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당시 정부는 공기업 정상화 정책의 일환으로 공기업들에 2017년까지 총 14조7000억원을 줄이라고 통보했다.
장 의원은 “2014년 12월 기준 한전의 주요 주주는 내국인 대 ․외국인 비율이 7:3 정도로 배당이 현실화 될 경우, 2119억원이 외국인 투자자에 배당되어 국부 유출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한전의 주주현황을 보면 정책금융공사 29.94%로 가장 많고, 정부 21.17%, 외국인 23.46%, 일반주주 및 기타가 25.43%를 차지하고 있어 계획대로 배당이 실시되면 정책금융공사를 포함한 ‘정부(약 51%)’가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