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롯데월드 공사현장에서 사망 사고가 또 발생한 것과 관련, 서울시의 대응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서울시와 박원순 시장이 제2롯데월드에서 안전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사용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고 여러차례 밝힌 가운데, 지난달 21일 제2롯데월드 공사현장에서 트럭에 치였던 공사 인부가 30일 사망했기 때문이다. 제2롯데월드 공사현장에서 사망한 인부는 모두 4명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사진>은 사망사고를 비롯해 제2롯데월드에서 크고 작은 사고들이 끊임없이 터지자 지난해 연말부터 수차례에 걸쳐 “다시 사고가 나면 사용중지나 임시사용 승인을 취소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롯데에 '조건부 임시사용 승인'을 내주면서 “공사장 안전"을 최우선 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러면서 안전사고 발생 시에 임시 사용승인을 취소하거나 공사 중단, 사용금지, 사용제한 등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후 제2롯데월드 바닥에서 균열이 발견되자 서울 송파지역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사용승인을 철회하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서울시가 주민들의 불안은 아랑곳하지 않고 기업이윤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며 서울시를 비난했다.
이처럼 임시사용 승인 이후 사고가 잇따르자 박 시장은 지난 1월 한 언론 인터뷰에서 “서울시가 임시사용 승인을 한 이유는 일단 저층부는 공사가 완공이 됐고, 1000여개의 중소기업들이 연관이 돼서 장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허가를 한 것인데 중요한 것은 안전”이라며 “현재 저층부의 영업이 지속되고 있는데 임사사용 승인을 했기 때문에 취소할 수도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박 시장은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계속 이어지는데도 롯데측의 대응이 미흡했기 때문에 저희들 입장에서는 계속 이렇게 되면 안 된다, 신속하고 투명하고 전문적인 안전관리대응시스템을 갖춰야지, 그렇지 않으면 사용중지나 임시사용승인을 취소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특히 “안전에 문제가 생긴다면 입주 업체들이 반대를 하더라도 개장 승인을 취소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2월에도 박 시장은 “조금이라도 위험이 있으면 제2롯데월드의 임시사용 승인 자체를 취소할 수도 있다”며 “일정 부분 사용을 못하도록 사용중지 조치가 있다. 아니면 임시사용 승인을 해줘 저층부가 영업을 하고 있는데, 이걸 취소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의 인터뷰에 앞선 지난해 12월 11일 경실련은 “불안에 노출된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박원순 시장이 제2롯데월드 임시사용승인 당시 천명했던 임시사용 승인 취소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했다.
경실련은 “제2롯데월드 사용 승인이후 식당가 통로 바닥 균열, 쇼핑몰 인테리어 부착물 추락, 실내 천장 구조물 균열 등 시민들을 불안에 빠뜨릴 수밖에 없는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임시사용 승인 취소와 관련해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내가 그 부분에 대해 말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도시계획국 관계자는 “현장조사를 면밀히 실시해 상부에 보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