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의 이익잉여금이 미국 최대 통신기업인 버라이즌보다 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본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회 입법조사처에 의뢰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SK텔레콤의 이익잉여금은 약 13조원으로 미국 버라이즌 2조4000억원의 6배에 달했다.
반면에 지난해 SK텔레콤의 매출액은 17조원으로 버라이즌의 150조원 대비 1/9수준에 그쳤다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으로 구성되는 사내유보금도 SK텔레콤이 16조원으로 버라이즌의 13조원 보다 약 3조원 가량 많았다.
우 의원은 “SK텔레콤과 버라이즌의 가입자수가 각각 2500만명과 1억명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가입자 수가 4배나 많은 버라이즌을 제친 SK텔레콤의 사내유보금 16조원이 시사하는 바는 더욱 크다”고 말했다.
우 의원은 “불합리한 요금제도를 통해 그동안 과도한 이익을 내온 흔적이 재무제표에 여실히 드러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 3사는 망 투자를 운운하며 엄살을 부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통신재벌기업이 규모가 훨씬 큰 해외기업과 비교해 과도한 이윤을 내고 있음이 분명한데도 통신사들의 이윤 하락을 우려해 기본료폐지에 나서지 못하는 정부 모습이 딱하기까지 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우 의원은 이통3사의 영업이익 증가와 가입자당 평균매출의 증가로 통신비 인하 여력이 충분하다며 지난 4월 기본료 폐지 등 가계통신비 인하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