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성장동력 발굴, 수출 및 중소기업 지원 등 경제혁신 분야 2016년 예산으로 32조원이 편성됐다.
9일 미래부, 산업부, 국토부, 중소청 등 4개 부처의 ‘2016년 경제혁신 분야 예산안’에 따르면 경제혁신 관련 예산안은 성장동력 창출 6조3000억원, 수출·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7조8000억원, 지역경제 활성화 17조9000억원 등 총 32조원 규모로 마련됐다.
성장동력 창출 예산은 올해 6조1233억원보다 소폭 늘어난 6조2955억원이,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1조2883억원이 집행된다.
17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거점으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판교 창조경제밸리는 올해 연말에 착공된다.
연구개발 예산으로 5조72억원이 배정됐으며, 신지식 창출을 위한 기초연구 강화, 유망분야 원천기술 개발, 첨단 ICT기술과 타 분야를 융합하는 실증 프로젝트 확대 등에 쓰이게 된다.
수출·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예산은 올해(6조9333억원)보다 8000억원 가량 늘었다. 인도·중동·중남미 등 신흥시장 개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중소기업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 활용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5조5807억원이 편성됐다. 노후한 산업단지를 대학 및 기업연구소와 연계해 인력 양성, 고용, 연구개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미래산업 창출 지원에 1조7311억원이 배정됐다. 19대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 중 16조3068억원이 지역 산업기반시설 구축에 편성됐다. 기업하기 좋은 투자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고속도로, 철도 등 국가기간교통망을 조기에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낙후지역 지원 등 지역 맞춤형 투자에 1조6395억원이 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