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업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전국 17곳에 설치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직원 대부분이 계약직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홍의락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인력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센터 출범과 함께 채용된 (센터장 제외) 신규 직원 125명 중 67.2%에 해당하는 84명이 ‘2년 이하 근무 조건’의 계약직으로 채용됐다.
특히 광주·경남·강원·세종·울산·인천센터의 경우 인력 전원이 계약직인 것으로 나타나 직원들이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입주기업 관리도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같은 위원회 소속 우상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에 따르면 광주센터에 입주한 A기업의 경우 소재지는 서울로, B기업의 경우 소재지가 안산으로 나타났다. 지역 기업을 위한 지역 센터에 타지역 기업들이 입주한 셈이다.
C기업의 경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6월 까지 대구센터에 입주했다가 사업 내용을 바꿔 2015년 6월부터 전남센터로 입주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상호 의은 “일부 기업은 서로 다른 사업 내용으로 6개월마다 혁신센터를 바꿔가며 입주하고 있다”며 “입주 기업에게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사무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또 “지역특화 전략분야 설정으로 인해 혁신센터는 구색 맞추기에 급급한 상황이며, 기업들은 이를 악용할 가능성 있다”고 지적했다.
홍의락 의원은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주요 목표 중 하나가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활성화”라며 “창조경제의 첨병 역할을 해야 할 직원들의 지속적이고 안정된 고용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우상호 의원은 14일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의 민낯’ 자료집을 발간했다.
자료집에는 ▲소수만을 위한 혜택 창조경제펀드 ▲허울뿐인 1인창조기업 ▲취지가 무색한 선수들의 놀이터 창업경진대회 ▲약해지는 창조경제 생태계 ▲캥거루족화 돼 가는 중소기업 등의 내용이 담겼다. 우 의원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에는 창조경제는 없고 성과창조만 존재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