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가운데 5곳이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출범식 이후 센터를 리모델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범식을 위해 원래 센터의 구조를 바꿨다가 다시 원상태로 돌려 대통령을 위한 ‘의전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전병헌 의원(새정치연합)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17개 중 5개(30%)에 달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들는 출범식 혹은 센터장 취임 이후 3개월 이내에 센터를 리모델링했다. 여기에 총 6억 5900만원의 예산이 쓰였다.
전북센터(효성그룹)의 경우 대통령 의전 중심이었던 내부구조를 변경하는 공사를 다시 진행했다. 대전센터(SK그룹)도 오픈 후 두 달만에, 경북센터(삼성그룹)과 강원센터(네이버)는 채 한달도 안된 상태에서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갔다.
일부 센터는 센터장이 없는 상태에서 대통령을 초청해 출범식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센터는 2014년 11월 24일에 출범식을 열었는데 센터장은 무려 3달 후인 2015년 2월 24일에 취임했다.
경기센터(KT)는 지난 3월 30일 개소식을 열었는데 센터장은 4월 1일 취임했고, 서울센터(CJ그룹)는 7월 19일에 개소하고 센터장은 같은 달 31일에서야 취임했다. 전남센터(GS그룹)는 개소식 하루 전날 센터장이 취임했다.
산업계 관계자는 “센터장도 없이 대통령을 초청해 행사를 치른 것은 무책임한 행태”라며 “해당 그룹들이 박근혜정부의 최대 국정과제중 하나인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소홀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전병헌 의원은 “대통령까지 참석한 개소식 직후에 리모델링을 하는 촌극이 연달아 벌어졌는데, 이는 대통령뿐만 아니라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창조경제사업을 위한 거점이 아닌 대통령의 자기만족용 일회성 행사장이었던 것 같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