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기아차는 지난 7일 국감에서 정성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현대·기아차가 2012년 배출가스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제기한데 대해 이날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정 의원은 국토위 국감에서 “2012년 8월 현대차(투싼 2.0 디젤)와 기아차(스포티지 2.0 디젤)가 급가속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ECU 프로그래밍을 조작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등에서 받은 ‘대기환경보전법 위반 현황 및 판매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는 것.
당시 환경부는 인증내용과 다르게 제작 및 판매했다는 이유로 현대차와 기아차에 각각 1억1099만원, 1억4833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당시 환경부는 투싼 2.0, 스포티지 2.0 모델에 대해 일부 고속구간에서 운전패턴을 달리하는 경우 질소산화물이 초과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대·기아차는 “당시 현대기아차가 ECU 프로그래밍을 변경한 것은 환경부의 시정권고(리콜 및 양산적용)에 따라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며 “타사의 사례와 같이 주행 중 배출가스 순환장치를 임의 조작한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또 "특히 당사는 실주행 조건과 다르게 실험실 인증 테스트 때에만 질소산화물을 줄이는 그 어떤 프로그램 조작을 한 바 없다"며 "당시 부과된 과징금은 시정권고에 따라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한 ECU 개선 내용을 신고하지 않아 행정절차 미숙으로 과징금이 부과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현대·기아차는 "당시 이같은 결과를 내놓은 환경부의 시험 조건에 대해 제작사 및 전문가들의 이견이 있었지만 당사는 환경정책에 협조하고 대기오염 저감차원에서 자발적 시정에 착수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