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올해와 내년도 경제 성장률을 모두 낮춰 잡았다. 올해 경제 성장률은 2.7%, 내년에는 3.2%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15일 ‘2015~2016년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은 지난 7월 전망한 2.8%에서 01.% 하향 조정, 2.7%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도 3.3%에서 3.2%로 1% 포인트 낮췄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 경제는 상반기 2.3%, 하반기 3.0% 성장하면서 전체적으로 2.7%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7월 수정 전망치(2.8%)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된 것으로 2분기 성장률이 당초 예상한 0.4%에서 0.3%로 1%포인트 낮아진데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내수 부문에서는 메르스 사태의 영향에서 벗어나 개선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대외수요 둔화에 따른 수출부진의 영향으로 올해 경기회복세는 여전히 미약하다고 분석했다.
내년에는 3.2%(상반기 3.3%, 하반기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향후 성장 경로에는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상방 리스크로는 미국과 유로지역 성장세 확대와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 등을 꼽았고, 하방리스크로는 중국 및 자원수출 신흥국 성장세 둔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증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을 지목했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상반기 0.5%, 하반기 0.9% 오르면서 전체적으로 0.7%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OPEC의 감산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 가뭄 등 기상여건 악화에 의한 농산물 가격 급등 등은 물가가 전망치보다 더 오를 수 있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중국 경제지표 약화, 글로벌 달러화 강세 등에 따른 국제유가 추가하락, 내수경기 부진으로 인한 수요부진 등은 전망치를 하회할 수 있는 변수가 될 것이라고 한국은행은 예측했다.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7월 1,8%에서 1.7%(상반기 1.6%, 1.8%)로 내렸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1천100억 달러, 내년에 930억 달러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