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한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4조 2000억원이 투입된다. 대우조선은 지난 2001년에도 2조 9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바 있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대우조성해양은 회사의 인력과 조직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대주주이자 주 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은 29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산업은행은 최대 채권은행인 수출입은행과 함께 신규 출자와 대출 방식으로 총 4조2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은행별로는 산업은행이 2조6000억 원, 수출입은행이 1조6000억 원을 책임지게 됐다. 이를 위해 이들 은행은 다음 달 6일까지 대우조선해양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했다. 두 은행은 무역보험공사와 대우조선해양에 신규 발급하는 선수금환급보증(RG)의 90%를 각각 같은 비율로 맡기로 했다.
아울러 산은은 유동성 지원과 연계한 유상 증자나 출자전환 등의 방식을 동원해 이 회사의 자본을 단계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채권단 실사 결과 대우조선해양의 손실 금액은 최대 6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7월 공개한 상반기 손실금액 3조2000억원에, 해양플랜트 공정 지연, 드릴십 건조계약 취소 등에 따른 추가 손실예상 금액이 3조원에 달했다.
산업은행 정용석 기업구조조정 본부장은 "부산 울산 경남의 지역내총생산(GRDP) 중 10%를 차지하는 대우조선해양의 위상을 고려해 국책은행의 지원이 불가피하다"며 “대우조선해양이 1조8500억 원에 달하는 자구 계획을 이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임원들의 임금 10~20% 반납과 부장급 이상 일반직 직원 300명 권고사직, 임금피크제 강화 등도 실시한다. 해양플랜트 비중은 현재 50% 이상에서 40%대로 낮추고, 부동산 등 비핵심 자산을 매각해 7500억원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산업은행은 경영 정상화 시기를 2019년으로 보고 재발 방지를 위해 향후 민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책임을 누구에게 어떻게 물을 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아 여전히 논란거리다. 산업은행은 부실 원인으로 ‘무리한 해양플랜트 수주’와 ‘부적절한 해외 자회사 투자’ 등 부실한 경영이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렸는데도 말이다.
이에 대해 정용석 본부장은 “고의적으로 잘못한 부분이 있었는지에 대해 더 확인해 봐야 할 문제”라며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지난 9월 수사를 의뢰했고 나머지 경영진에 대해서도 책임 여부를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책임에 대해서는 “이렇게 방대한 회사에 최고 재무책임자 한 사람 파견했다고 부실을 막을 수 있겠냐”며 피해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