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덕핵발전소 유치 찬반 주민투표 관리위원회'(투표관리위)는 11일 영덕 원전유치 찬반 투표를 실시한 결과, 유효 투표 수 1만1139표 가운데 '반대'가 91.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며 원전건설 백지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찬성은 7.7%로, 865표에 불과했다.
전체 유권자 3만4432명 중 1만1201명이 투표해 32.5%의 투표율을 보였다. 주민투표법을 적용할 때 전체 유권자 3분의 1 이상 참가해야 한다는 투표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원전유치 찬성 단체인 '영덕천지원전 추진특별위원회'(원전추진특별위)는 투표의 공정성을 문제로 지적하고 나섰다. 또한 원전추진특별위와 투표관리위가 집계한 투표자 수가 1800명 이상 차이가 난다며 대리투표 또는 이중투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서 주민간의 갈등이 격화될 전망이다.
원전추진특별위는 13일부터 투표비리제보센터를 운영해 조만간 법원에 주민투표관리위의 투표인 명부에 관한 증거보전 신청을 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투표 결과를 인정할 수 없으며, 토지보상협의 등 후속조처를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13일 ‘원전 찬반투표 관련 영덕군민에게 드리는 말씀’에서 2010년 영덕군은 지역발전을 염원하면서 군의회 의원 전원의 동의를 거쳐 원전 유치를 신청했으며, 정부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 2012년 천지원전 예정구역을 지정·고시한 바 있다고 밝혔다.
또 정부와 한수원은 예정구역 고시 이후 군민 여러분과 다각적으로 소통해 왔고, 특히 지난해 11월 정홍원 총리의 영덕 방문을 계기로 범정부적인 지원 사업을 마련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주민 투표로 인해 지역사회가 분열되고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면서 주무장관으로서 송구스럽고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면서도 “여러 차례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번 투표는 법적 근거와 효력이 없으며, 따라서 정부는 투표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 영덕에는 2026년 원전 2기가 들어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