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들의 절반 이상이 재벌 2~3세가 경영권을 승계하는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재벌개혁과 경제민주화에 역행하는 행태라는 지적이 많았다. 그러나 20대 연령층은 재벌가의 경영권 승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개혁연구소가 24일 발표한 재벌의 경영권 승계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재벌 2~3세가 그룹 경영권을 물려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이 54.8%로 “긍정적으로 본다”(34.4%)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연령, 직업, 이념성향, 지지정당 등을 막론하고 모든 조사계층에서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특히 30~40대 연령층, 화이트칼라 직업층, 진보성향 계층에서 많이 나왔다. “긍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은 20대 연령층과 중상층 이상, 보수성향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을 결과 “총수일가가 경영을 독점하는 것은 재벌개혁과 경제민주화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응답이 39.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경영권과 재산을 물려받는 과정이 공정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25.2%였다.
“긍정적으로 본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경영능력을 갖추었을 것”이라고 답한 사람이 35.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전문경영인보다는 주인이 있는 기업이 보다 성장가능성이 높으므로(24.4%)”였다.
이번 조사는 경제개혁연구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19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11월 20일~ 21일 2일간 가구전화 및 휴대전화 설문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서 ± 2.2%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