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최고경영자들은 현재 경기를 장기형 불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016년에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고 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년에 긴축경영을 할 계획이라는 최고경영자들이 절반을 넘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박병원)는 기업 23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최고경영자 경제전망 조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최고경영자의 52.3%가 내년도 경영계획의 방향성을 ‘긴축경영’으로 응답했다. 대기업은 66.7%로 지난해(51.4%)보다 15.3%포인트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지난해(31.5%)보다 14.3%포인트 증가한 45.8%로 집계됐다. ‘긴축경영’ 응답 52.3%는 글로벌 금융위기 촉발 시점인 2009년 전망조사(67.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현상유지’는 30.2%, ‘확대경영’은 17.4%였다.
기업들은 내년도 투자 규모에 대해 △'올해 수준' 42.3% △'축소' 38.4% △'확대' 19.3% 등으로 응답했다. 고용계획에 대해선 △'올해 수준' 48.7% △'축소' 34.1% △'확대' 17.3% 등으로 밝혔다.
최고경영자의 75.7%는 현 경기 상황을 장기형 불황으로 평가했고, 40.8%는 ‘국내 경기 회복이 상당 기간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당 기간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은 중소기업(38.2%)보다 대기업(46.3%)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내 경기가 2016년에 회복할 것이라는 응답은 15.9%에 불과했다.
최고경영자들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2.7%로 봤다. 정부에서 추진 중인 4대 개혁 중 가장 시급한 것으로는 ‘노동개혁’(61.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32.3%는 노동개혁 중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로의 개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밖에 ‘대·중소기업간 근로조건 완화’(21.2%), ‘정규직 과보호 완화’(15.7%) 순으로 나타났다.
노동개혁의 성공적인 추진 여부에 대해선 ‘회의적이다’라는 응답이 59.8%로 높게 나타났다. ‘정치권에 대한 불신’(37.4%), ‘정부의 리더십 부족’(29.7%), ‘노사간 신뢰 부족’(19.4%) 등이 이유였다.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는 ‘적극적 규제 완화’(31.5%)와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23.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장경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10.7%), ‘투자 및 창업에 대한 금융, 세제 지원’(10.5%) 등의 응답도 있었다.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달러 환율은 평균 1087.2원, 원/100엔 환율은 평균 986.2원으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