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는 18일 민주노총의 파업을 ‘정치파업’으로 규정하고 “불법 정치파업에 상응하는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갑한 현대차 사장은 이날 담화문에서 "임단협 타결에 대한 노조의 진정성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교섭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고민도 했다“며 ”직원 피해를 막고 회사 안정을 위해 집중교섭을 통해 협상을 매듭짓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조도 진심으로 조합원 권익을 위한다면 정치파업과 같은 무의미하고 무책임한 결정을 다시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재직자 세금문제와 정년퇴직자 미수급 문제 등 직원 피해를 막기 위해 반드시 연내 타결하겠다는 마음으로 교섭을 다시 시작했다"며 "매일 본교섭과 실무교섭을 하자고 노조에 제안했다"고 말했다.
현대차 노조가 속한 금속노조는 오는 30일 파업을 강행할 예정인 가운데, 현대차는 지난 17일 박유기 현대차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노조원 6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했다. 사측은 고소장에서 "민주노총과 금속노조가 정치적 목적으로 파업을 결정했고 현대차 노조는 이 지침에 따라 생산라인을 정지시켰다"며 "막대한 생산손실과 함께 정비를 예약한 고객들이 제대로 정비를 받지 못하는 등 회사 이미지를 실추시켰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그러나 지난 9월 중단된 올해 임단협을 최근 다시 시작했다.
한편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16일 노조의 파업으로 차량 2,200여대를 생산하지 못해 450억원의 손해를 봤다. 기아차는 1,360여대를 생산하지 못해 252억원의 매출 손실이 예상되는 등 총 709억원의 매출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