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야당 심판론’을 제기했다. ‘심판론’은 야당이 선거 전략용으로 꺼내는 카드로 흔히 ‘정권 심판론’을 통해 대통령과 집권여당을 싸잡아 비판할 때 사용한다. 그런데 집권여당의 대표인 김 대표가 여당 인사로서는 매우 이례적으로, 당 대표로서는 처음으로 ‘야당 심판론’을 제기하고 나선 것.
김 대표는 21일 새누리당 당지인 '새누리비전' 창간 9주년 기념식 겸 송년회에서 “내년 4월 총선은 무능한 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 야당도 이제 자격 있는 야당으로 바꿔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이 애걸복걸 하는데도 야당이 경제개혁 법안을 통과시키지 않고 있다”면서 “망국법인 국회선진화법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새누리당이 180석 이상을 얻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야권의 분열에 실망한 야당과 중도성향의 유권자들이 스윙보터(swing voter)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적인 경제불황의 책임을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권에 전가함으로써 내년 총선에서 확실한 승기를 잡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현재 새정연의 분열은 문 대표와 안 의원의 때 이른 대권 경쟁과 공천권 갈등 때문에 불거진 것”이라며 “일부에서는 안철수 의원 탈당으로 새누리당에서 (지지자) 10%가 이탈할 것이라는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 새누리당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 여권은 분열할 일도 없고 이대로 간다면 4월 총선은 무조건 이긴다”고 말했다.
정치를 하면서 후회한 적 없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는 “집권여당의 당 대표까지 하고 있으면서 후회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면서도 “만족하지는 못한다”고 대답했다.
그는 “내가 정치에 입문한 계기가 민주화 투쟁을 하면서 부터다. 때문에 당 대표를 하면서 새누리당을 민주주의 정당, 정당 민주주의를 확립하고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이번 총선에서 공천권을 국민들에게 돌려드리겠다고 한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제 사람 심기’ 논란이 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진실한 사람’ 발언과 일부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전략공천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또 “오늘 공천룰 특위를 구성했다. 국민 대 당원 비율을 어떻게 할지, 결선 투표방식과 여성, 장애인, 청년 등에 대한 가산점을 어떻게 가져갈지 정하고 있다”며 “우선 여성에 대한 가산점은 반드시 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러나 가산점을 부여했을 경우 경선에 불복한 이들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문 대표와 협의해 법제화하는 방안을 마련, 깨끗하게 승복하는 선거문화를 뿌리내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나는 새누리당 국회의원을 5번이나 했지만, 2번이나 공천 못 받은 사람이다. 공천 못 받은 놈이 당 대표를 하고 있지 않나. 이런 일 절대 또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