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8일 민영진 전 KT&G 사장이 배임수재 및 뇌물공여 혐의로 구속된 가운데, 백복인 KT&G 사장의 검찰 수사에 재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그러나 백 사장에 대한 수사진행 상황은 물론, 수사대상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해 줄 수 없다(NCND)”는 입장이다.
백 사장은 민 전 사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민 전 사장이 비리혐의로 검찰의 압박을 받고 지난 7월 자진 사퇴하자 KT&G는 지난 10월 임시주총을 열어 백 사장을 신임 사장에 앉혔다.
당시 재계와 정치권에서는 수사 선장에 오른 인물을 신임 사장에 선임한 것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수사를 받게 될 인물이 조직 장악은 고사하고 KT&G의 개혁을 이끌어 낼 수 있겠냐는 것.
검찰 내부에서도 부정적인 기류가 감지됐다. 한 언론은 “한 검찰 간부는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차기 사장 선정이 다소 성급했던 것 같다. (백 부사장 수사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문제는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백복인 사장이 받고 있는 혐의는 뇌물 공여 및 증인 도피 등이다.
백 사장은 지난 2010년 청주시 연초제초장 부지 매각과 관련, 공무원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와 2013년 서울 남대문 부지 개발 과정에서 용역비를 과다로 지급한 의혹을 받고 있다.
백 사장은 또 경찰 수사 선상에서 핵심 증인으로 꼽히던 용역업체 N사 대표를 해외로 도피시킨 혐의를 받았다. 당시 검찰은 경찰의 ‘기소 의견’을 뒤집고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했다.
재계의 이목은 검찰이 과거에 무혐의 처분한 사건을 왜 다시 들추어내고 있느냐에 집중되고 있다.
민영진 사장 압박용이라거나 공공기관 개혁을 위한 손보기용, 정치권 인사 자리 만들기용 등 억측이 무성한 가운데, 검찰은 백 사장 수사진행 상황과 관련 ‘확인해 줄 수 없다’며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
22일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김석우)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수사 진행상황은 물론) 수사 대상인지 여부에 대해서도 알려줄 수 없다”고 말해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검찰은 보통 정치·경제적으로 민감한 사건일 경우 ‘수사가 진행중이서 밝힐 수 없다’고 대응한다.
민영진 전 사장 구속을 전후로 재계와 언론은 백복인 사장에 대한 검찰 소환조사가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관측한 바 있다.
한편 KT&G 홍보실 관계자는 22일 “(백 사장이) 소환조사를 받거나 통보 받은 적은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