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물인터넷, 일명 IoT(Internet of Things)로 불리는 이 기술은 세계 최대 가전쇼인 2014 CES와 세계 최대 이동·정보통신 산업 전시회인 2014 MWC의 공통된 주요 화두로 등장한 이래 선망받는 미래기술로 회자되고 있다.
하지만,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다소 어려운 듯 싶다. 다소 딱딱하게 느껴지는 사물인터넷이란 번역체의 말보다는 그냥 약자인 IoT가 실상에선 자주 들린다. 사물인터넷이란 용어는 1999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ID Center) 소장 케빈 애시턴(Kevin Ashton)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유비쿼터스나 사물통신(M2M, Machine to Machine)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사물 간 통신의 제약이 감소하고 애플리케이션이 발달하면서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확대됐다. 과거에는 장비와의 연결에만 주목했다면,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에 연결된 정보를 활용하고 기기 간 상호작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영역으로까지 확대'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가정 내에 사물인터넷을 도입한 경우인 스마트홈 IoT가 귀에 익숙하다. 집안에 있는 제품을 사물인터넷 기술로 조종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귀뚜라미와 이도링크의 제품이 대표적.
귀뚜라미의 홈 시스템(IoT 보일러) 서비스는 핸드폰으로 보일러 관리를 할 수 있게 해주며, 이도링크의 미스터 에브리띵(Mr.Everything)제품은 다기능 모바일 충전 스테이션으로 LED 조명과 랜턴 기능을 제공하며 Aux 및 Bluetooth 4.0 기반의 스피커와 광폭우퍼를 통해 높은 음질의 사운드를 제공해 캠핑족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했다.
이도링크의 Mr.Everything은 2015년 CES에서 IT 분야 혁신상을 수상할 만큼 한국 업체들에게 가능성을 알려주는 사례로, 한국 기술이 글로벌화 될 수 있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이 알려진 스마트홈 IoT 시장의 성장에 못지 않게 '웨어러블 피트니스 기기 및 의복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바로 '입는 IoT'다.
IoT 제품은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뿐만 아니라, 섬유·의류·신발·액세서리 등의 아이템들로 광범위 하다. 그 시장은 무려 10조 이상. 올해 CES에서도 이른바 '입는 IoT(사물인터넷)'인 웨어러블 기기를 40여개 업체가 선보였다. 피트니스 트래킹은 물론 혈압·수면주기 측정 등을 하는 제품들이 공개됐다.
무엇보다 괄목해야 할 것은 전자섬유(e-TEXTILES)다. 전자섬유는 안테나가 있는 셔츠, 의사에게 상처가 잘 낫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밴드, 뇌의 활동을 감지하는 모자 등을 만드는데 쓰일 수 있다.
또한, 섬유에 전자 회로로 수를 놓는 새로운 기술 덕분에 우리가 입는 옷이 하루 동안 체력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스마트폰의 수신을 높여, 입는 패션 IoT로 진화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전자섬유는 10피트 수를 놓는데 약 15분 밖에 걸리지 않고 안테나당 재료비는 약 30센트 정도다. 거의 완벽한 효율이라 할 수 있다. 1~5㎓의 주파수 신호를 전송해 전체 약 6인치 자수 스파이럴 안테나가 초고속 인터넷과 이동통신에 잘 맞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피트니스 트랙킹을 위한 손목 착용 디바이스들도 2020년 매출 최고점인 6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자들의 약 40%는 구매 후 6개월 정도 착용 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웨어러블 기술이 한계에 달했다기 보다는 더욱 '착용하기 편한' 형태의 스마트 섬유 웨어러블의 출현을 기대하기 때문이라 한다.
수트, 우산, 지갑 및 가방과 같은 소지품에 근거리 무선통신 칩(NFC 칩)을 내장하면 스마트폰과 연동, 다양한 모드를 지정해 분실, 이벤트 알림, 경고기능 및 운동량을 기록, 몸의 이상 징후를 확인해 미리 대처하고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 USB 포트를 갖추고 있는 가방은 내·외부에 LED 조명을 달아 어두운 곳에서 열쇠구멍을 찾거나 바닥에 떨어트린 물건을 찾을 때 좋고, 스마트폰을 충전하거나 조명이 필요할 때면 내장돼 있는 배터리를 이용하면 된다. 외부에는 금속으로 된 파워 패널이 부착돼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원 버튼 및 잔량 확인용 인디케이터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입는 IoT'는 사물에 고유 웹주소를 부여해 의류나 신발 등의 '짝퉁' 선별에도 이용할 수 있다. RFID 태그 및 바코드와 같은 2차원 태그를 붙인 후 스마트 플랫폼에 적용시키면 짝퉁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고, 반품 사기 피해도 줄일 수 있다.
현재 웨어러블 운동복 및 기구를 개발 제작하는 스타트업 업체들은 운동량 트랙킹 관련 물품, 운동복, 트랙킹 디바이스, 모바일 앱, 플랫폼 등을 한 번에 일괄 구매할 수 있도록 제품을 라인업 하고 있다. 또한, 부가적인 기기를 장착할 필요 없이 입는 행동 하나로 필요한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의복 또는 내의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
때문에 웨어러블 직물 또는 의복을 개발 생산하는 업체들은 해당 소프트웨어를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자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추세다.
이러한 '입는 IoT' 기술은 소비자에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정보, 유통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제품 구입 이후에는 제품과 관련한 특별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한다.
미국 실리콘밸리무역관은 '실리콘밸리에서 바라본 입는 IoT 현주소' 보고서를 통해 국내 업체들은 관련 소프트웨어 또는 플랫폼 해당 사업 분야뿐만 아니라 의류업체, 공공기관, 인테리어 전문기업과도 협업해 사물인터넷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다지려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