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제일제당이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회사는 10일 콩 부산물을 발효시켜 만드는 사료원료 ‘발효대두박’의 베트남 공장을 완공했다.
또 미얀마에 업계 최초의 해외 유지(油脂) 공장을 완공하고 1조원 이상 규모의 현지 식용유시장 공략에도 나섰다. CJ제일제당은 올해 들어 베트남 김치업체인 ‘옹킴스’를 인수하고 베트남 국영 유통기업인 ‘사이공 트레이딩 그룹’과 현지 식품사업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베트남 발효대두박 공장은 연간 2만6000톤 생산규모로 CJ제일제당의 첫 해외 발효대두박 공장이다. 베트남은 태국에 이은 동남아 2위 규모 발효대두박 시장으로, 향후10년 내에 발효대두박 시장 규모가 두 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생산규모를 15만 톤까지 확대하고, 인근 국가 수출시 비관세 혜택이 있어 베트남 공장이 전체 동남아 시장 공략의 전초기지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발효대두박을 연간500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최근 5년간 연 평균 경제성장률이8%에 달하는 미얀마에는 식용유 공장을 지난8일 완공했다. 미얀마 최대도시 양곤(Yangon)에 조성된 틸라와 경제특구(Tilawa SEZ)에 들어선 이 공장은 대두유, 해바라기유, 팜유, 혼합유 등의 가정용 식용유 제품을 연간 약2만 톤까지 생산할 수 있다.
미얀마 식용유 시장은 약 1조 3000억원 규모의 대형 시장이지만, 현지에서 직접 식용유를 생산하는 기업이 없는 상황이다. CJ제일제당의 공장은 미얀마 최초의 자동화 현대식 유지 공장으로, 식용유의 원료를 저장하고 혼합, 포장하는 공정 라인을 모두 갖췄다.
이렇게 해서 2020년까지 1,3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계획이다. 미얀마 식품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회사와 제품의 인지도를 올리고, 이를 토대로 식용유 등의 소재식품뿐 아니라 가공식품 등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김진현 CJ제일제당 소재사업부문장은 “CJ제일제당의 사료원료와 식용유 사업의 동남아 시장 진출은 우리 고유의 기술로 만든 제품을 글로벌 무대에 선보인다는 점에서 큰 의미”라며 “성장가능성이 큰 동남아시아에서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선점효과를 노릴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