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2016년 LTE 소형셀 기지국 SW개발 성공에 이어 LTE-TDD 기술과 이중연결성이 지원되는 SW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향후 건물이나, 운동경기장, 가정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기존 SW기술이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향후 5G(세대)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TE-TDD기술은 상향(Uplink)과 하향(Downlink)의 비율을 시간으로 나눠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LTE에서는 7가지 방법으로 상·하향 링크 비율을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한정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황에 맞게 상·하향 데이터속도 비율을 조절 할 수 있는 셈이다.
또 이중연결성이 지원되는 SW기술은 향후 5G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LTE-A 프로(Pro) 기술이라 불리는데 사용자가 두 개의 기지국을 동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기지국간 간섭을 제어해 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사용자의 전송 속도를 높여주는 향상된 간섭제어(eICIC)기능, eMBMS 기능도 개발했다. 또 소형셀 기지국 SW를 검증하는 시험환경기술도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orea IT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