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투자전문 지주회사인 SK(주)가 국내 최초로 미국 의약품 생산기업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SK는 지난 12일 이사회를 통해 미국의 바이오·제약 CDMO(위탁개발 및 생산업체)인 엠팩(AMPAC Fine Chemicals) 지분 100% 인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SK(주)는 지난해 유럽의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생산시설을 인수한 바 있으며, 이번 인수는 미국 시장으로 영역을 넓힘으로써 글로벌 1위 CDMO로의 도약을 노린 승부수라는 게 업계의 이야기다.
엠팩은 지난 1990년대 설립된 업체로 항암제와 중추신경계·심혈관 치료제 등에 쓰이는 원료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 내 3곳의 생산시설과 연구시설 1곳, 500명 이상의 숙련된 임직원이 근무중인 엠팩은 연 15%이상 고성장 중인 기업이기도 하다.
다수의 제약사들이 밀집된 캘리포니아 주에 자리 잡고 있는 엠팩은 여러 유망 혁신 신약제품의 임상 및 상업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도 20년 이상 장기간에 걸친 파트너십을 통해 고도의 기술력과 품질관리를 요하는 의약품을 생산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엠팩 인수는 SK에게 있어 선진국 시장에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SK(주)에서 엠팩 인수에 나선 또 다른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강화이다.
SK(주)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에서 소비되는 의약품은 자국에서 생산해야 한다는 기조의 규제 강화가 지속되고 있다”며 인수를 서두른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SK(주)는 바이오·제약을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 성장동력으로 보고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제약시장은 연평균 4%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선두 CDMO 그룹은 연평균 16%의 고속 성장을 지속중이다.
특히 최근에는 대형제약사들도 대부분 의약품 생산을 전문 CDMO에 맡기는 추세이며, 대규모 생산시설을 보유하지 못한 신생 제약업체들이 부상하면서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SK는 이 같은 환경 가운데 글로벌 M&A를 통해 임상단계부터 상업화 단계까지 원료의약품을 공급할 수 있는 글로벌 선두 CDMO 그룹에 조기 진입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제약업계에서는 특히 SK의 아시아 및 유럽 의약품 생산역량과 엠팩 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SK(주)의 100% 자회사인 SK바이오텍은 1998년부터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을 생산, 글로벌 제약사들에 수출해 왔으며 작년에는 국내기업 최초로 BMS(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의 아일랜드 생산시설을 인수했다.
인수 이후 한국과 아일랜드 생산 현장에서는 총 40만ℓ급의 원료의약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엠팩 인수 이후 2020년 경에는 생산규모가 글로벌 최대인 160만ℓ급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SK(주) 관계자는 “엠팩이 워낙 고수익, 고성장하는 기업이다 보니 다수의 글로벌 CDMO들과 사모펀드들이 인수에 관심을 보였지만 결국 바이오·제약에 지속 투자하고 있는 SK와 시너지를 통한 미래 성장을 택한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아일랜드 스워즈 생산시설의 인수와 PMI(인수후통합) 작업 등을 모두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것이 도움이 됐다는 평이다.
SK(주)는 SK바이오텍의 아시아-유럽 생산 시설과 미구 엠팩 간 R&D, 생산, 마케팅·판매 등을 주축으로 오는 2022년까지 기업가치 10조원 규모의 글로벌 선두 CDMO로 도약할 계획을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