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애경·미래에셋·KCGI 등 출사표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애경·미래에셋·KCGI 등 출사표
  • 이준성
  • 승인 2019.09.04 1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애경그룹, 미래에셋대우·현대산업개발, 사모펀드 KCG(강성부펀드)가 참여했다.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인 금호산업과 매각주간사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은 3일 오후 2시 아시아나항공 예비입찰을 마감했다.

이번 예비 입찰에는 애경그룹과 KCGI, 미래에셋대우와 컨소시엄을 구성한 HDC현대산업개발, 이 밖에 사모펀드 업체 두 곳 등 총 5곳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호산업과 매각주간사는 예비입찰에 참여한 기업에 대한 적격성 여부를 판단해 인수적격후보를 추리는데, 1곳 이상의 적격 인수후보만 있으면 유효경쟁이 성립하기 때문에 일단 유찰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당초 유력한 인수후보로 기대됐던 SK, 한화, 롯데, GS, 신세계, CJ 등 대기업들은 불참했다.

일찌감치 언급됐던 SK, 한화, GS 등 10대 대기업들이 발을 뺀 것으로 확인되자 업계에서는 아시아나항공 통매각,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금수혈 등이 정부와 채권단의 구상대로 진행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우려했다.

하지만 이들이 이날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재무 투자자와 컨소시엄 형태로 본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다.

줄곧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의지를 나타냈던 애경그룹은 2006년 저가항공사(LCC) 제주항공을 세우면서 항공산업에 진출했다. 현재 제주항공은 국내 6개 LCC 중 시장점유율, 매출, 항공기 보유대수 등 전 부문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성공하면 계열사인 LCC 에어부산과 에어서울까지 인수해 항공기만 150대를 보유한 대형 항공사가 탄생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이 상반기 재무제표 기준 660%로 악화된 상태라 애경그룹에는 재정적 부담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애경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경우 지주회사인 AK홀딩스의 부채비율은 131%에서 351%로 높아진다. 애경그룹은 금융권에서 인수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단독 입찰에 참여했다.

KCGI는 대한항공 모기업인 한진칼의 지분 15.98%를 보유한 2대 주주이다. KCGI는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재무 투자자(FI)로서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는데 구체적으로 어느 기업과 전략적 투자자(SI)로 손을 잡을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SI를 찾지 못해 컨소시엄 없이 단독 입찰할 경우 정부 방침에 맞지 않아 적격 인수후보에 들어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업계에서는 한진칼의 2대 주주로 현재 대한항공의 경영권 확보를 시도하고 있는 KCGI가 적격 인수후보에 들어가기만 해도 어느 정도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국적항공사라는 대형 매물이 인수합병시장에 나온데 비해 흥행이 저조할까 우려했던 아시아나 인수전이 예비 입찰 마감 하루 전 미래에셋대우·현대산업개발이 참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분위기가 살아났다.

자본력 있는 미래에셋대우와 최근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인 현대산업개발이 손잡은 것으로 보인다. 종합건설업체 현대산업개발의 지주사인 HDC는 2015년 호텔신라와 함께 면세점 사업권을 따낸 데 이어 2지난 6월 한솔그룹으로부터 골프·스키리조트 오크밸리를 인수하는 등 인수합병과 투자를 통해 그룹 확장해 왔다. 아시아나항공 인수시 항공산업과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DC현대산업개발은 현재 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등을 포함해 1조6000억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대 투자은행인 미래에셋대우와 컨소시엄을 이룬 만큼 자금조달 면에서 가장 안정적일 것이라고 관측된다.

아시아나항공이 안고 있는 각종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안정성과 경영능력, 자금력 측면에서 세 후보는 사실상 정부와 채권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는 2분기 기준 9조 6000억원에 이르고 보유한 항공기 86대 중 74대가 임대 항공기로 상당기간 재무적 압박이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입찰에 응한 기업들이 기대보다 낮은 인수가격을 제시할 경우 매각주체가 매각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계열사 분리매각을 택할 수도 있어 통매각의 원칙을 고수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1206, 36-4 Yeouido-dong, Yeongdeungpo-gu, Seoul, Korea(Postal Code 0733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6-4 (국제금융로8길 34) / 오륜빌딩 1206호
  • URL: www.koreaittimes.com / m.koreaittimes.com. Editorial Div. 02-578-0434 / 010-2442-9446. Email: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Monica Younsoo Chung. Chief Editorial Writer: Kim Hyoung-joong. CEO: Lee Kap-soo. Editor: Jung Yeon-jin.
  • Juvenile Protection Manager: Yeon Choul-woong. IT Times Canada: Willow St. Vancouver BC, Canada / 070-7008-0005.
  •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rights reserved.
ND소프트